교통사고 등 6개 분야 122개 사업으로 구성

[울산=글로벌뉴스통신] 울산시는 5월 26일(금) 오후 2시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울산시와 구‧군, 울산경찰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교통안전공단, 안전보건공단, 울산연구원, 울산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지역안전지수 개선계획 보고회’를 개최한다.
보고회는 △2023년 지역안전지수 개선계획 추진방향 설명 △교통사고, 화재 등 6개 분야별 개선대책 소개 △생활안전 분야 빅데이터 분석과제 중간발표 △자유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지역안전지수’는 행정안전부가 안전관련 주요 통계를 활용해 지자체의 안전 수준을 6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5개 등급(1~5등급)으로 개량화한 것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매년 공표(1등급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안전)된다.
울산지역 안전지수는 제도가 도입된 지난 2015년 이후 대체로 하위권에 머물러 왔다.
다행히 취약분야의 중점 관리 덕분에 지난 2022년 공표 결과(2021년 기준)는 △교통사고 3등급, 감염병 2등급(각 1개 등급 상승) △화재 3등급(2개 등급 상승) △자살 4등급(1개 등급 하락) △범죄 2등급·생활안전 4등급(각 전년동일)을 기록하여, 8개 특·광역시 중에서 4위로 중위권에 진입하게 됐다.
저작권자 © 글로벌뉴스통신GN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