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GNA)이근배 시인 한국 옛벼루 명품 소장전 - 더보기
상태바
(글로벌GNA)이근배 시인 한국 옛벼루 명품 소장전 - 더보기
  • 송영기 기자
  • 승인 2021.06.25 0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글로벌뉴스통신]

(대한민국 예술원 회장 이근배 시인 등단 60년 기념 한국 엣 벼루 명품 소장전에서)
(대한민국 예술원 회장 이근배 시인 등단 60년 기념 한국 엣 벼루 명품 소장전에서)

 

 

이근배 시인 한국 옛벼루 명품 소장전, 더보기 - 속편

(2021. 6.11 - 6.27 가나아트센타- 渭原花艸石日月硯)

 

사천 이근배 (沙泉 李根培)

1940  충남 당진에서 유학자인 이각현(李覺鉉)공의 장남 독립운동가 선준(銑濬)공과 거유 장후재(張厚載)학사의 셋째딸 순의(順儀)여사의 외동아들로 태어남

1958   당진상업고등학교졸업

        서라벌예술대학 문에창작과 문장학생으로 입학, 김동리, 서정주 선생의 문하생으로 글짓기를 배움.

         공초 오상순 선생께 아호 '사천(沙泉)'을 받음

1960  시집  '사랑을 연주하는 꽃나무' 를 서정주 선생 서문으로 출간

1961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조 '묘비명' 당선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벽' 당선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압록강' 당선

1962,1963,1964 동아일보, 조선일보,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문공부 신인예술상

1967  황희 선생 17대손 만산(滿山)공의 차녀 연숙(蓮淑)과 결혼,

        중앙출판공사 편집장

1968  동화출판사 주간

1973  한국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 위원장

1982  시조집 '동해바다 속의 돌거북이 하는 말'출간

1994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장 피선

1998  재능대학 문얘창작과 교수 (-2004년)

2002  사단법인 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2004년)

2005  신성대학교 석좌교수 (-2007년)

2006  현대시조포럼 회장

2008  7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2010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초빙교수

2012  간행물윤리위원장 (- 2015)

2014  신성대학교 박물관장 (- 2017년 6월)

2015  12월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 (- 2017년)

2017  3월 한국시조대상 수상

2018  7월 대한민국예술원 문학분과회장 (- 2019)

2019  11월 현재  중앙대학교 초빙교수

         세계한글작가대회 조직위원장 (국제 펜 한국본부)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현재)

 

(정조임금사은연 앞 부분 상단 확대, 청 18세기 후엽. 단계석에 박힌 구관조 새의 눈동자 무늬인 구욕안이 파도문, 용문과 함께 이 벼루돌의 고상함을 한층 더 자아낸다)
(정조임금사은연 앞 부분 상단 확대, 청 18세기 후엽. 단계석에 박힌 구관조 새의 눈동자 무늬인 구욕안이 파도문, 용문과 함께 이 벼루돌의 고상함을 한층 더 자아낸다)

 

구욕안(鸜鵒眼)

   - 벼루 읽기

 

       이근배

 

허블망원경으로 보면

은하계 속에 깊숙이 숨어서

 

우주를 통째로 삼키려는 듯

눈을 부릅뜨고 있다는

블랙홀

 

지난해 여름

북경 해왕촌 시장에서

겨우 찾아낸

단계 벼루 이마에 박힌 구욕안鸜鵒眼*처럼

내 심장 속까지 꿰뚫어보는

그 눈!

 

나는 지금 빨려들고 있다

겨우 움켜쥔 사랑 한 줌

흔적도 없이 날려버리고

왕겨 같은 빈 껍질로

풀, 풀, 풀

후, 후, 후

바람보다 가볍게 바스라지고 있다

사랑을 놓치고서

나는 없다

 

(註) * 구욕안창(鸜鵒眼蒼) :구욕(鸜鵒)은 구욕새이고, 파란 눈은 연석(硯石)위에 둥근 형체의 반점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당 나라 유공권 (柳公權)이 벼루에 대하여 “ 물 고이는 곳에 적· 백·황색의 점이 있는 것을 구욕안(鸜鵒眼)이라 한다 ”고 했다.

 

(정조임금사은연 뒷면, 정조임금이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사부였고 어릴때 자신의 보양관 이었던 스승 뇌연 남유용에게 특별히 하사한 벼루로써 어필 御筆이 양쪽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고 아래에는 사부가 그 내력을 또한 새겨 기념하였다 )
(정조임금사은연 뒷면, 정조임금이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사부였고 어릴때 자신의 보양관 이었던 스승 뇌연 남유용에게 특별히 하사한 벼루로써 어필 御筆이 양쪽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고 아래에는 사부가 그 내력을 또한 새겨 기념하였다 )

 

<벼루 뒷면 - 한자 명문>

1. 오른쪽 테두리 명문(銘文) : 萬川明月主人 奉贈

2. 왼쪽 태두리 :  雷淵 老師   [弘濟]

3. 하단 테두리 :  臣 洪有容 祈受珍藏

4. 벼루 중앙   :  淸溪馬氏珍藏 蘭田題刊

                      [成親王]

 

* - 만천명월주인 (정조임금의 별호)이 뇌연 (대제학 홍유용의 호) 스승님께 선물로 드립니다. 홍제 (정조 임금의 호)

  - 신 홍유용이 임금님께서 내려주시어 받은 보배

  - 청계 마씨 소장 귀중품. 성친왕 (관인)

 

(청 건륭제의 제11황자 성친왕은 당대의 이름난 안진경 체의 명필이었으니, 좋은 벼루돌을 진장하고 선물도 하였을 것이다)
(청 건륭제의 제11황자 성친왕은 당대의 이름난 안진경 체의 명필이었으니, 좋은 벼루돌을 진장하고 선물도 하였을 것이다)

 

     성친왕은 중국 청나라 건륭제의 제11황자 영성(永瑆)으로 그의 아우가 건륭제의 제15황자 영염 (永琰)으로 가경제(嘉慶帝)임.

성친왕은 당대의 명필이었으며 사람됨이 단아하며 가장 어질고 효성스럽기 때문에 아버지 건륭제로 부터 총애를 받았고 인망이 있어 후계자로 물망이 있었다.

     그러나 황제가 가족들의 잔치를 베풀면서 모두에게 상을 주었는데, 유독 15황자 영염 (永琰)에게만은 주지 않으면서 말하기를,"너야 무슨 은銀이 필요가 있겠느냐"고 하였다고 한다.

     이는 곧 천하의 모든 것이 다 네것이라는 의미, 萬川明月主人 이라는 것 아닌가.

 

(정조임금사은연 正祖大王謝恩硯 앞면, 20 x 28 x 3.7 단계석)
(정조임금사은연 正祖大王謝恩硯 앞면, 20 x 28 x 3.7 단계석)

 

 

어느날 만천명월주인(萬川明月主人)이 내게 와서

    - 벼루 읽기

                            이 근 배

 

   요즘 신문에서 정조 正祖 이야기가 한창이다

   신하에게 보낸 편지에

   막말을 썼다느니 독살이 아니느라니

   사도세자 思悼世子의 아들로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까지 권력의 작두날에 섰던

   그는 스스로 만천명월 주인이라고

   호를 짓고 그 까닭을 글로 남겼다

   - 지상의 강에 뜬 달이 모두 자기 것이라고 ?

   내 속 빈 머리로는 우주적 생각을

   알아들을 길 없거니와

   내가 그를 떨쳐버릴 수없는 것은

   그가 아버지의 사부 師傅였고

   자신의 어릴적 보양관이자 스승이었던

   뇌연 雷淵 남유용 南有容에게

   청나라 궁실에서 온 벼루에다

   그 호를 새겨 바친 것이

   어느날 내게 찿아 온 것이다

   서른여섯 해 전 창덕궁에서

   명연전 名硯展이 열렸을 때

   왕실이며 명문거족들이 다투어 자랑하던

   나라 안의 잘난 고연 古硯들이 모두 나왔을 때

   눈 밝은 이들이 가리고 골라서

   으뜸의 으뜸으로 뽑았던 그 벼루

   단계석에 박흰 구욕안 鸜鵒眼*이며   

   용문이며 온갖 위엄을 모두 갖춘

   먹을 갈기에도 붓을 대기에도

   선뜻 손이 나가지 않는 어명연 御名硯이

   때때로 강물소리도 내고

   수천수만의 달로 떠오르기도 하여

   밤이면 나도 모르는 땅으로 끌려 다니기도 하고

   어지러운 꿈에 빠져 허우적 거리며

   날마다 조금씩 넋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고종황제의 상궁이었던 엄비가 1897년 44세에 영친왕을 낳아 경선당 慶善堂이라는 호를 고종으로 부터 받았고, 거처하는 전각이 경선당이었는데, 엄비가 소장하던 위원화초석 장생문 일월연이다)
(고종황제의 상궁이었던 엄비가 1897년 44세에 영친왕을 낳아 경선당 慶善堂이라는 호를 고종으로 부터 받았고, 거처하는 전각이 경선당이었는데, 엄비가 소장하던 위원화초석 장생문 일월연이다)

 

(경선당 慶善堂에서 사용하던 왕실 벼루라 벼루함은 붉은 주칠이 되어 있고, 왕실용이라 4발톱의 사조룡 四爪龍 무늬가 벼루함 네모서리에 그려져 있다)
(경선당 慶善堂에서 사용하던 왕실 벼루라 벼루함은 붉은 주칠이 되어 있고, 왕실용이라 4발톱의 사조룡 四爪龍 무늬가 벼루함 네모서리에 그려져 있다)

 

 

(고종의 왕자 의친왕 義親王 이강공 李堈公이 쓰던 '위원화초석 송죽포도문 일월연' , 조선 15-16세기)
(고종의 왕자 의친왕 義親王 이강공 李堈公이 쓰던 '위원화초석 송죽포도문 일월연' , 조선 15-16세기)

 

(니가완은대월 일월연, 訓民正音日月硯, 15세기 초엽)
(니가완은대월 일월연, 訓民正音日月硯, 15세기 초엽)

(사진촬영 : 글로벌뉴스통신, 송영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