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해결 위해 NPT 탈퇴 포함 모든 옵션 고려해야
상태바
북핵 해결 위해 NPT 탈퇴 포함 모든 옵션 고려해야
  • 권혁중 기자
  • 승인 2013.04.10 07: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일 미 카네기 재단 기조연설

 정몽준 전 새누리당 대표는 9일 오전 9시(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카네기 재단이 주최한 ‘2013 국제 핵정책 컨퍼런스’에 참석, “한국은 국가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에서 NPT 10조에 의거, NPT에서 탈퇴할 권리를 행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우리는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생각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 대안들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국제 사회는 북한 정책을 리셋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정책의 최우선순위에 두어야 하고 모든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전 대표는 이를 위해 NPT탈퇴를 포함해 ▲ 미국 전술 핵무기의 재배치 ▲ 2015년 전작권 전환 계획의 폐기 ▲ 미2사단의 한강이남 배치 계획 중단 ▲ 비핵화 최우선 논의를 전제로 하는 미-북 직접대화를 방안으로 제시했다.

 정 전 대표는 “핵무기에 대한 북한의 생각이 바뀌지 않는다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북한 정권 자체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과격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중국의 경우 등소평이 모택동 사후 그의 통치를 ‘공7과3’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중국의 변화를 유도했는데 국제사회는 북한에 대해 비슷한 변화를 유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전 대표는 “미국은 우리의 유일한 동맹국이며 미국이 과거와 현재 한국의 안보를 보장해준 것에 대해, 그리고 앞으로도 보장해 줄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전제한 뒤  “그렇지만 한반도 분단, 6.25 전쟁의 발발, 북핵 사태는 모두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몰이해, 오판, 전략부재, 판단 마비에서 기인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고 따라서 한미 동맹은 성공했지만 북핵을 저지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정몽준 국회의원(7선)은 “한반도의 비핵화는 평화적 통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라면서 “독일 통일이 유럽의 통합과 평화에 중요한 기여를 했듯이 한국의 통일은 동아시아의 영구 평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문 (연설문)
  Thank you, Doug, for that kind introduction. 
I would like to thank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viting me to this important conference.

We are gathered here to talk about a very serious topic, so let me try to lighten the atmosphere a little by starting with a joke.

At an art museum in Europe, an Englishman, a Frenchman, and a North Korean stand before a painting of Adam and Eve holding an apple in the Garden of Eden.

The Englishman says: “The man has something tasty to eat and is eager to share it with the woman. Based on that, I would conclude that they’re rather obviously English…”

The Frenchman says: “I disagree. They’re walking around entirely naked, so they must be French…”

The North Korean says: “There is no doubt in my mind that they’re North Korean. They have no clothes to wear, barely anything to eat, and they still think they’re in heaven!”

This morning, I will tell you why I think so.

Korea was divided because the US invited Stalin to join the war against Japan and then was caught off-guard.  Near the end of World War II, fearing a couple million casualties, the US begged the Soviet Union to enter the war against Japan.  Only too pleased, Stalin broke the Soviet-Japanese Neutrality Pact and declared war on Japan on August 8, 1945, a week before the Japanese surrender.

On August 10, stunned that the Soviet army had already entered Korea, the US hastily drew up a plan to stop the Soviet advance.  Lieutenant colonel Dean Rusk and a fellow junior officer drew the 38th parallel as the demarcation line between the US and Soviet occupation zones.  It was said that they used a National Geographic map to draw the parallel.  No one was interested in Korea.

The first elements of the US forces arrived on the Korean peninsula on September 8, a month after the Soviets.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rule but only at the cost of national division.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most thought that North Korea would give up its nuclear program in exchange for normalizing relations with the US.  Others thought that the regime would collapse and the problem would simply disappear.

In his 2002 State of the Union address, delivered four months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President Bush declared North Korea a member of the “Axis-of-Evil.”  The next year, the US invaded Iraq.  Many, including North Koreans, thought that North Korea would be next.  North Korea started to accelerate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However, for the next three years, the US became bogged down in Iraq and Afghanistan.  This gave North Korea time and excuse to build the bomb.

During the US invasion of Afghanistan and Iraq and later on, when the Iranian nuclear program came to the fore, most US policy makers saw the North Korean issue as a distraction.  During presidential elections, the issue was ignored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too thorny or intractable.  For long stretches of time, North Korea was a “problem,” but not a “crisis.”

Does it make sense for China to keep North Korea as a “buffer state” even if it means letting it go nuclear?

But first and foremost, we Koreans blame ourselves.  Our national security policy was hijacked by domestic politics.  Successive presidents, right or left, were consumed by the wish to hold a summit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An inter-Korean summit was regarded as a symbol of statesmanship.  The blind pursuit of a summit often saw South Korean presidents paying-off North Korea while manipulating and misleading international as well domestic public opinion. 

A former president reportedly said that North Korea has neither the will, nor the capability to develop nuclear weapons and that he would take responsibility if they did.  Another said that it was “rational” for North Korea to develop nuclear weapons.

South Korea’s policy makers not only refused to face reality, but sometimes fabricated it.  In 2002, the US confronted the North Koreans with evidence showing they were developing highly

Professor Allison is also the author of The Essence of Decision, a classic study of the Cuban Missile Crisis.  As serious as that crisis was for the US, the threat posed by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o the South Korean people is far more acute and direct.

What does this diplomatic failure tell us? 

First, it tells us that North Korea will not voluntarily give up its nuclear weapons.  From the beginning, North Korea developed them for keeps.  Like his father, Kim Jong Un cannot reform North Korea because he himself is a prisoner of the system.  That is why he cannot give up the nuclear weapons and why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the outside world is not his goal.

Second, North Korea is still under the illusion that the South Korea-US military alliance can be dissolved.  That is why they continue to pursue a “peace treaty” with the US.

The long term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North Korea’s nuclear terror on South Korea will be dire.  South Korean
unconditional aid and security guarantee, it will understand the outside world’s true, benign intentions and open up voluntarily, giving up its nuclear weapons.

But a more relevant analogy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another Aesop’s fable, that of the Frog and the Scorpion.

As the story goes, a scorpion was trying to cross a stream.  Not able to swim, he asked a frog to carry him on his back.  But the frog refused, saying “If I carry you, you will sting me and I will die.”  The scorpion replied, “Why would I do that?  If I sting you, I will drown, too!”  Convinced, the frog began swimming across the stream with the scorpion on his back.  However, mid-stream, the scorpion stung the frog.  As they were both drowning, the frog cried out, “Why did you do it? Now you have killed both of us!”  The scorpion replied, “I can’t help it. It is my nature.”

Which analogy do you think is more relevant?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bill.  It would send a clear warning that, by continuing its nuclear program, North Korea is releasing the Nuclear Genie in East Asia. They can also be indispensable as a bargaining chip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cond, th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to transfer wartime operation control to South Korean forces in 2015 should be nullified.  The OPCON transfer will dissolve the Combined Forces Command. Now is not the time to make North Korea’s dream come true. 

Third, in this time of crisis, plans to move the US 2nd Infantry Division south of the Han River, should also be stopped.  The "tour normalization" program for the US forces in Korea should be revived.  We should send North Korea a clear message that the more threatening and reckless they become, the more resolute and powerful our response will be.

Fourth, some even say that the only way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is for South Korea to follow the India-Pakistan example, or the case of Israel.
Facing an extraordinary threat to national security, South Korea may exercise the right to withdraw from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as stipulated in article 10 of the treaty.  South Korea would then match North Korea’s nuclear progress step-by-step while committing to stop if North Korea stops.  South Korea should be given this leeway as a law-abiding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who is threatened by a nuclear rogue state. 

It is like a member of the gun-control lobby in good-standing whose neighborhood gangster just acquired assault rifles and threatens him.  In order to buy a gun to protect himself and his family against the gangster, he now wishes to withdraw his membership temporarily.

The only thing that kept the Cold War cold was the mutual deterrence afforded by nuclear weapons.  Nuclear weapons played a critical role in keeping the peace in Europe during the Cold War.  The lesson of the Cold War is that against nuclear weapons, only nuclear weapons can hold the peace.

We are grateful for the security that the US has provided us in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The US is our only ally.

However, no matter how close we are, no two nations’ national interests can line-up 100%.  This is just common sense. 

The alliance has been highly successful.  However, it failed to stop North Korea from acquiring nuclear weapons. 

Telling us not to consider any nuclear option is tantamount to telling us to simply surrender. 

Our goal is, and will continue to be,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Let us put all the options on the table.  Let us try to prevent the unthinkable by thinking the unthinkable. 

Give Korea room to maneuve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the last hurdle before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Just as German reunification was the key to a united and peacefulThinking the Unthinkable on the Korean Peninsula
 

한글 (연설문)

한반도에 대해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기

더글라스 팔 박사님,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이렇게 중요한 회의에 초청해 주신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측에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 우리가 여기서 다룰 주제는 심각한 주제인데요, 분위기가 너무 무거워지지 않도록 농담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유럽의 한 미술관에 영국 사람, 프랑스 사람, 북한 사람이 그림을 보고 있었습니다.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가 사과를 들고 있는 그림이었습니다.

영국 사람이 말했습니다. “남자가 맛있는 음식을 여자와 나눠 먹으려 하는 것을 보니, 저 사람들은 영국 사람들인 것 같습니다.”

프랑스 사람이 말했습니다. “제 생각은 좀 다른데요, 벌거벗은 채 돌아다니고 있는 걸로 볼 때 저 사람들은 프랑스 사람들입니다.”

북한 사람이 말했습니다. “저 사람들은 분명 북한 사람들입니다. 입을 옷도 없고, 먹을 것도 거의 없는데, 자기들이 여전히 천국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소련에게 참전해달라고 애원했습니다. 스탈린은 기꺼이 소-일 중립조약을 파기하고 1945년 8월 8일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습니다. 일본이 항복하기 불과 일주일 전에 말입니다.

8월 10일 소련 군대가 이미 한반도에 진주한 것에 충격을 받은 미국은 부랴부랴 소련의 진격을 막을 계획을 세웁니다. 딘 러스크 중령은 다른 중령 한 명과 함께 미군과 소련군의 점령 경계선으로 38선을 그었습니다. 방에 걸려있던 내셔널 지오그래픽 지도를 이용해서 선을 그었다고 합니다. 그 당시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미군은 9월 8일 소련군이 들어 온 지 한 달이 되어서야 한국에 도착했습니다. 한국은 ‘한반도 분할’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서야, 일본으로부터 해방이 되었습니다.

한국전쟁 역시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의 무관심과 오판이 초래한 것입니다.

1949년 중국 본토가 공산화 되었지만, 미국은 그 해에 한국에 있던 3만 명의 미군을 철수시킵니다. 1950년 1월 딘 애치슨 미 국무장관은 한국을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제외시켰습니다. 5개월 뒤, 북한은 한국전쟁을 일으켰습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5백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미국이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전쟁을 하는 중이거나, 이란 핵 프로그램이 부각되었을 때, 대부분의 정책 입안자들은 북한 문제가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북한 이슈는 등한시 되었습니다. 너무 골치 아프거나 다루기 힘든 이슈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북한 이슈는 항상 “위기”라기 보다는 그저 “문제”의 차원에서 다루어졌습니다.

북한 핵이슈는 미국과 중국이 핵확산을 막는데 어떻게 실패했는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두 초강대국은 지난 20년 동안 바로 눈앞에서 슬로우 모션으로 펼쳐지고 있는 핵확산을 막지 못했습니다. 중국은 6자 회담의 의장국을 맡았고, 미국은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습니다. 북한은 그 덕을 톡톡히 보았습니다. 미국은 북한문제에 집중하지 못했고, 중국은 북한 사람들이 핵폭탄을 만들어내지 못할 것이라고 매우 단순하게 생각했습니다.

급부상한 중국은 미국과 전략적 경쟁에 신경 쓰느라 국경이 맞닿아 있는 불량국가의 위협을 제대로 보지 못했습니다.

덩샤오핑이 개혁개방 정책을 펼친 이후부터 중국은 신중한 외교 노선을 취해왔습니다. 중국의 국력이 급속하게 커졌고, 이웃국가들은 중국 경제 발전의 덕을 보면서 중국에 대해 안심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천안함 침몰 사건, 연평도 포격 사건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두둔하는 중국을 보면서 이웃국가들은 경악하지 않을 수
것입니다.

지난 10년간 햇볕 정책을 펼치면서 남한은 거의 100억 달러 정도의 현금과 현물, 원조를 북한에 쏟아 부었습니다.

이제 북한은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0년 전,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하기도 전에 그레이엄 앨리슨 교수는 그의 저서 『핵 테러리즘』에서 “현재 상태가 지속된다면, 북한은 핵 무기를 개발하고 핵무기 생산 라인을 갖추게 될 것이며, 이것은 230년 미국 외교정책사에서 가장 큰 실패로 남게 될 것이다” 라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아무도 그의 경고에 귀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조금의 과장도 없이 말씀 드리자면, 우리 지도자들은 절망적일 정도로 순진했습니다.

앨리슨 교수는 쿠바 미사일 위기를 다룬 명저, 『결정의 엣센스』 (The essence of Decision) 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쿠바 미사일 사태는 미국인들에게 아주 심각한 위기였겠지만, 북핵 위기는 한국인들에게 그보다 더 직접적이고 극심한 위협을 주고 있습니다.

이 외교적 실패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대북 외교는 실패했습니다. 북한을 설득하려는 노력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당근도 줘 보고 온갖 회유 수단을 동원했지만 모두 실패했습니다. 북한체제의 진짜 본질이 무엇인지 잘못 이해했기 때문에 실패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햇볕정책”으로 알려진 대북포용정책의 논리는 이솝 우화에 근거합니다. 북한을 조건 없이 지원해주고 안전을 보장해주면, 북한은 외부 세계의 따뜻한 진심을 받아들여, 자발적으로 핵무기를 포기하고 개혁개방의 길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체제의 본질을 설명하는데 더 적절한 이솝 우화는 ‘개구리와 전갈’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시내를 건너가려고 애쓰는 전갈 한 마리가 있었습니다. 헤엄을 칠 수 없는 전갈은 개구리에게 자기를 업어서 시내를 건너가 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하지만 개구리는 전갈에게 “너를 등에 업고 가면 날 찔러 죽일 거잖아”라며 거절했습니다.

 전갈은 “내가 왜 그렇게 하겠어? 네가 죽으면 나도 빠져 죽는데” 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 말을 믿은 개구리는 전갈을 등에 태운 채 헤엄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시내 중간에 이르렀을 때 전갈은 개구리를 찔러 죽였습니다. 물에 빠져 죽어가면서 개구리가 외쳤습니다. “왜 그랬어? 우리 둘 다 죽게 됐잖아!” 전갈이 대답했습니다. “나도 어쩔 수 없어. 그게 내 본능이야.”
재도입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상 카드로도 필수불가결 합니다.

둘째, 한국과 미국은 전시작전권을 2015년까지 한국측에 전환한다는 합의를 무효화해야 합니다. 전작권 전환은 한미연합사령부의 해체를 초래할 것입니다. 지금은 북한의 꿈이 이루어지게 해 줄 때가 아닙니다.

셋째, 위기 상황인 만큼 주한 미군 2사단을 한강 이남으로 이전하는 계획 역시 중단해야 합니다. 재정 부담 때문에 중단된 주한미군의 “복무정상화 (tour normalization)” 계획은 다시 추진되어야 합니다. 북한이 더 위협적으로, 더 막무가내로 나올수록 우리는 북한에 더욱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명백한 메시지를 보내야 합니다.

넷째, 일부 사람들은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인도-파키스탄 모델을 따르거나 이스라엘 모델을 따르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받게 되면,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 10조에 명시된 NPT 탈퇴에 관한 권리를 행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한국은 북한의 핵 개발 단계에 맞춰 움직일 것이고, 북한이 멈추어야만 멈출 것입니다. 한국은 국제법과 규범을 준수하는 국제사회의 일원입니다. 핵으로 무장한 불량국가로부터 심각한 위협을 당하고 있는 한국에게 이러한 재량권이 주어져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만약 그 어떤 방법으로도 북한의 핵 야욕을 꺾을 수 없다면, 북한 정권의 근본적인 변화만이 유일한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등소평이 모택동의 통치를 "공7, 과3"으로 표현함으로써 개혁의 물꼬를 텄습니다. 국제사회는 북한에도 유사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미국이 과거와 현재 한국의 안보를 보장해 준 것에 대해, 그리고 앞으로도 보장해 줄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미국은 유일한 우리의 동맹입니다.

하지만 두 나라가 아무리 가깝다고 해도, 양국의 국익이 100% 일치할 수는 없습니다. 이점은 모두가 받아들이는 상식입니다.

한미동맹은 지난 시간 동안 놀라운 성공을 이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우리에게 어떤 핵 옵션도 고려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우리에게 그냥 항복하라고 얘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한반도의 비핵화이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입니다. 우리는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올려 놓아야 합니다. 우리는 생각할 수 없는 대안을 생각해서,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을 막아야 합니다.  한국이 운신할 수 있는 공간을 주기 바랍니다.

이것은 총기규제 지지단체에서 우량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이 생존을 위해 잠시 단체에서 탈퇴하려는 것과 같습니다. 이웃 사람이 공격용 소총을 구입해 본인에게 또는 이웃들에게 총기를 사용하겠다고 위협한다면, 총기를 구입해 스스로를 보호하는 수밖에 없을 테니까요.

냉전구도를 냉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핵무기를 통한 상호 억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냉전기간 동안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에는 핵무기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핵무기는 핵무기로 대응해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냉전이 주는 교훈입니다.

북한이 계속 핵 보유를 고집하면, 한국도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북한은 알아야 합니다. 중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동북아시아의 핵 확산은 중국이 감싸고 있는 북한 때문에 초래 될 것입니다. 저는 중국에 묻고 싶습니다. “한국이 미국의 전술핵을 재도입하길 원합니까? 아니면 자체적으로 핵 보유 능력을 개발하기를 원합니까?”

다섯 째, 대화 역시 옵션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미국과 북한이 직접 대화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대화의 최우선 어젠다는 ‘비핵화’이어야 합니다.

한반도의 비핵화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해 넘어야 할 마지막 장애물입니다. 독일 통일이 유럽의 통합과 평화에 중요한 기여를 했듯이, 한국의 통일은 동아시아의 영구평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입니다.

광활한 유라시아 대륙의 엄청난 지정학적 무게를 우리가 생각해본다면 대륙의 끄트머리에 위치한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가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남아있다는 사실은 기적입니다. 그리고 그 기적은 지금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기적을 계속 유지해 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