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의 혁신과 창조경제’
상태바
‘전경련의 혁신과 창조경제’
  • 장서연 기자
  • 승인 2014.02.28 0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규제완화로 창조경제 활성화되면 국가경제 더욱 발전될 것

 

   
▲ (사진제공:전경련)이승철 상근부회장.
                                전경련이 달라지고 있다. 대내외적으로 조직문화 혁신을 위해 임직원들이 전방위로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대기업의 대변자라는 고전적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직원들의 생각과 업무방식부터 기업 중심이 아닌 국민 중심으로 바꿔 나가고 있다. 이는 전경련이 기업의 이미지를 버리는 것이 아닌 국민의 신임을 통해 대기업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더 잘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엔 허창수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이 전통시장에 가서 시장체험을 하는 등 대국민 소통을 위해 앞장섰다.

◇대기업 대변자에서 국민의 대변자로 거듭날 것

 물론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국민과의 호흡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해나가기 위해 전경련 직원 총 135명 중 18명이 TV토론 및 여러 방송에 출연하는 등 국민 설득을 위해 전방위로 뛰고 있다. 지난해에는 상법 개정 예고안의 조속한 국회 입법 처리를 위해 민관단체명을 기입한 신문광고를 냈다. 전경련의 제안이 전경련과 기업만의 의견이 아닌 국민 모두의 의견임을 피력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또한 보수층만이 아닌 진보층도 함께하는 국민대통합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회원사의 범위 또한 넓혔다. 해외 여러 경제단체를 방문해봤는데, 대기업만 회원사로 포함시킨 경제단체는 우리나라 전경련밖에 없었다. 작년 12월 회장단 회의에서 회원사 범위를 넓힐 것을 제안했다. 전경련의 품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으나 창조경제시대에 다양한 업종, 기업을 포함시키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라 생각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인 비판보다는 건설적 제안을 더 많이 하기 위해 민관 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을 정부에 제안하여 올해 신설했다. 그 외 돔구장과 마이스(MICE) 복합단지, 자동차산업, 의료관광 등을 제안했고 정부에서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사업이 곧 추진될 예정이다.

◇조직문화 혁신을 꾀하다

 지난해 12월 전경련은 신축회관으로 이사하면서 사무국 내에 창조공간을 만들었다. 이곳은 직원들 마음대로 꾸밀 수 있는 공간이며, 또한, 알파·감마·베타룸이라는 특별한 회의실을 만들어 이곳에서 직원들이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T/F팀을 구성하여 각자의 리더십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전경련 사무국의 또 다른 특징은 팀장과 팀원의 자리를 구별짓지 않은 것이다. 모두가 옆으로 나란히 앉아 일하도록 구조를 바꿨다. 또한, 회의실을 오픈형으로 바꿨으며, 책상 칸막이 높이는 117cm로 통일(앉아서 일할 때는 앞이 안 보이나 일어서면 상대방의 눈이 보이는 높이)했고, 임원실도 통유리로 바꿈으로써 오픈형 사무실을 만들었다.

 회의문화도 노트를 보며 적는 회의가 아닌 눈을 마주치고 얘기하는 방식으로 개선했다. 모든 회의에서 필기는 화이트보드에만 가능하며, 이걸 스마트폰으로 찍어서 회의가 끝난 뒤에 자리에 돌아가 보도록 함으로써 앞을 보고 얘기하는 회의로 바꿨다.

 이렇게 전경련은 작은 것부터 하나하나씩 바꿔나가며 국민과 화합하고, 창조경제에 부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전경련이 생각하는 창조경제는 무엇이며, 창조경제는 왜 필요한가?

 현재 우리나라 기업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국내 대표 10대 그룹을 살펴보면 평균 나이가 55세인데 업종이 크게 차이가 없다. 왜 우리나라는 50년 전에 만든 기업으로 아직까지 먹고사는 것일까. 창조산업 발굴이 시급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창조산업은 우리 가까이에 있어

 전경련이 생각하는 창조산업이란 로봇, 생체바이오, 우주항공 등 거창한 산업으로 국가경제를 이끌어가자는 것이 아닌, 바로 ‘쉬운 창조’이다. 창조산업은 우리 주변에서 이미 우리의 생활과 함께하고 있다.

  가까운 예로 프로스펙스가 있다. 구(舊) 국제상사인 프로스펙스는 2007년 LS네트웍스에 인수되어 세계 최초로 워킹화를 개발했다. 단순 워킹화가 아니라 포장용·비포장용 도로 등 여러 용도로 개발했고, 김연아를 모델로 영입해 젊은 층의 반응을 이끌어냈다.

  아이디어 하나로 산업을 일으킨 사례다.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다. 중국인들이 국내에 오면 사는 중요한 쇼핑품목 중 하나인 쿠쿠 전기압력밥솥은 우리가 평소 사용하던 전기밥솥과 압력 밥솥을 하나로 합친 아이디어 상품인데, 출시 이후 지금까지 2,000만 대를 팔았다. 김치냉장고도 마찬가지다. 무려 1조 2,000억 원의 연 판매율을 기록하였으며, 보유율 80%에 도달하는 데 세탁기 23년, 냉장고는 19년 걸렸는데 김치냉장고는 14년밖에 안 걸 렸다.

 창조경제가 강조하는 융합의 대표 사례는 스크린 골프장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인구 10명당 골프장이 한 개인데 미국은 2,000명당 한 개다. 스크린골프장에서는 여러 나라의 골프장을 다 경험해볼 수 있다. 각 나라 골프장의 센서를 통해 바람세기 등 모두를 동일하게 경험할 수 있다. 이밖에 무수한 아이디어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음식에 넣으면 염도 등이 측정되어 건강을 챙겨주는 ‘스마트숟가락’, 전경련 직원들이 요즘 열심히 차고 다니는 ‘만보계’, 귀에 꽂고 졸면 알람이 울리는 ‘귀걸이 알람’도 아이디어 상품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아이디어 상품을 만들어도 팔 데가 없다는 것이다. 만보계를 어디서 살 수 있나. 용산 전자상가, 스포츠센터, 오프라인매장 어디에도 없다. 인터넷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 참으로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기반 조성을 통한 신산업 성장이 절실해

 우리나라의 많은 발명가들이 망하는 이유는 좋은 제품을 만들어도 팔지를 못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일본은 아이디어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 도큐핸즈라는 백화점 수준의 멀티숍이 있으며, 보다 저렴한 제품을 취급하는 돈키호테도 있다. 이곳에서는 국산제품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에서 만들어도 팔 데가 없어 일본에서 팔 수밖에 없는 한국 창조산업의 현실을 보여준다. 유튜브가 없었다면 지금의 싸이는 없었을 것이며, 도큐핸즈가 있기 때문에 귀걸이 알람이 팔리는 것이다. 창조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유통구조의 선진화는 무엇보다 시급하며, 정부에게 이를 계속 설득하고 있다.

◇이렇듯 신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기반 조성이 필수다. 전경련 신축회관 지하에 여러 업종이 들어와 장사를 하고 있고 장사도 꽤 잘되는 편이다. 아무리 장사가 잘되는 가게여도 장사할 곳이 없다면 돈을 벌지 못할 것이다. 이렇듯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기반 조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기반 조성을 통한 신산업 대표사례가 항공기정비산업이다. 이 산업은 항공기 제조산업보다 두 배 크기다. 그런데 이 산업을 하려면 단지가 필요하다. 싱가포르에는 세레타 에어로스페이스 파크(Seletar Aerospace Park)라는 항공단지가 있다. 이 안에 부품제조단지, 항공기정비단지, 연구교육단지 등이 들어서면서 항공기정비산업이 활성화됐다. 우리 정부도 싱가포르처럼 단지를 조성해줘야 한다. 그러면 기업이 투자하고 산업이 살아난다. 단순히 자유방임에 의해서는 신산업이 생겨날 수 없다. 이를 위해 때로는 정부가, 때로는 기업이 나서야 한다.

◇규제완화가 창조경제의 원동력

한국영화가 1,000만 관객 시대를 열게 된 계기는 1996년도에 영화법 제12조 “영화는 그 상영 전에 공연법에 의하여 설치된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에 위헌 결정이 내렸기 때문이다. 사전심의제에서 등급제로 전환하면서 영화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영화를 만들려면 유통이 있어야 하니 투자사와 배급사가 커지고 영화산업 또한 발전한 것이다. 우리나라 영화에서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작품이 9개인데 그 중 해외영화는 아바타가 유일하다. 영화법 제12조 한 줄을 지운 효과다.

 이처럼 우리가 규제완화를 통해 활성화시킬 수 있는 산업은 무궁무진하다. 그 중 하나가 자동차 개조 산업인데, 이 시장이 현재 뜨거운 감자다. 이미 5대 강국에서 자동차 개조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세계 자동차 개조시장의 규모는 100조 원에 달한다.

 미국과 일본, 유럽은 이미 자동차 개조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한국은 1%에도 못 미친다. 한국이 세계 자동차산업의 4위를 차지하는 강대국이라는 면에서 참으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개조차에 대해 안전성을 운운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리무진도 개조차다. 이 시장 역시 자동차관리법 제34조1항 한 줄을 지우면 활성화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규제완화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산업은 바로 산악산업이다. 우리 국토의 70%가 산인데 이는 엄청난 자원이자 축복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 축복받은 자원을 살리질 못한다. 한라산보다 높은 해발 3,454m의 스위스 융프라우는 200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됐으며, 이 아름다운 산을 직접 체험하길 원하는 전 세계 사람들을 위해 꼭대기까지 산악열차가 다니고, 레스토랑도 있다. 생모리츠에는 해발 2,000m 이상의 고지대 자전거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도로, 자전거 전용호텔 등 자전거 라이더를 위한 인프라가 완비됐다.

 이렇듯 산을 통해 개발할 수 있는 관광산업은 다양한데,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걷기만 활성화되어서 등산복과 등산화, 트레킹화 등 아웃도어 시장만 엄청나게 커졌다. 현재 강원도 양양군이 군수와 군민 모두가 힘을 모아 설악산에 케이블카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10년째 좌초 중이다. 정부기관, 환경단체 등 인사 중심으로 구성된 국립공원위원회에서 자연훼손 가능성을 이유로 부결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 1989년 덕유산 국립공원 케이블카를 마지막으로 24년 동안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가 허용되지 않고 있는데 우리나라 산악산업이 스위스보다 뒤처진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과도한 규제에 있다. 규제완화가 시급하다.

 규제 때문에 못하는 것은 지우고, 몰라서 못하는 것은 알려주고, 없는 것은 만들어준다면 우리 산업의 신성장동력인 창조경제는 활성화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대기업이 나오는 등 국가경제가 더욱 발전될 것이라 생각한다.

(자료출처:전경련 국제경영원 1월 17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특강)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