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율 부산시의원, 하수관로 차집시설 제기능 할 수 있도록 제반여건 확보 절실
상태바
박종율 부산시의원, 하수관로 차집시설 제기능 할 수 있도록 제반여건 확보 절실
  • 이상철 기자
  • 승인 2023.02.11 2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글로벌뉴스통신DB) 박종율 의원 북구4(화명1·3동)
(사진:글로벌뉴스통신DB) 박종율 의원 북구4(화명1·3동)

[부산=글로벌뉴스통신]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박종율 의원(북구4, 국민의힘)은 8일(수) 제311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시 하수처리 시스템과 하수관거 관리시스템이 관련 분야의 적극적인 신기술 및 특허기술 도입을 통해 점차 선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1990년부터 2조가 넘는 예산을 투입해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는 ‘분류식하수관로’설치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막대한 예산규모와 현실적인 문제들에 부딪혀 70% 언저리의 공정률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기존 하수처리장 개선사업이나 고도화 사업과 같은 당면사업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다 보니 정작 하천환경 복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하수관로 사업은 매년 계획된 예산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당초 목표였던 사업 준공 시점마저 불투명해 합류식 하수관거와의 공존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박 의원은 합류식 하수관거 관리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부산시의 하수관로에는 여전히 많은 합류식 하수관거가 남아있고, 약 1,500개의 하수관거 차집시설도 운영되고 있다”면서, “올해 온천천이나 영도 동삼동 해수천에서 발생했던 물고기 폐사가 바로 이 차집시설 관리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 “2017년에는 전국 최초로 하수관거 차집시설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했으면서도, 강우시 수량이나 수질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유량조절장치는 설치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차집시설을 위탁 운영하는 부산환경공단에서도 현재의 시설로는 당초 차집시설 통합관제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부산시 환경관련 부서가 과학기술이나 환경산업기술의 발전을 수용하는데 다소 소극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하면서 하수관로 차집시설 관제시스템이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확보하고, 부산시 통합 하수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줄 것과, 환경관련 분야의 적극적인 신기술 및 특허기술 도입을 통해 점차 선진화하는 부산의 환경시설을 보여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