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강서구, 주민 의견 수렴 없는 독단적 교정시설 이전 안된다
상태바
부산 강서구, 주민 의견 수렴 없는 독단적 교정시설 이전 안된다
  • 이상철 기자
  • 승인 2023.05.11 2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제공:강서구) 사진 왼쪽부터 박상준(강서구의회의원), 박혜자(강서구의회의원), 박병률(강서구의회의장), 송현준(부산시의회의원), 김형찬 강서구청장, 김주홍(강서구의회부의장), 이자연(강서구의회의원), 구정란(강서구의회의원)
(사진제공:강서구) 사진 왼쪽부터 박상준(강서구의회의원), 박혜자(강서구의회의원), 박병률(강서구의회의장), 송현준(부산시의회의원), 김형찬 강서구청장, 김주홍(강서구의회부의장), 이자연(강서구의회의원), 구정란(강서구의회의원)

[부산=글로벌뉴스통신] 부산 강서구는 11일(목)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부산시의 교정시설 입지선정위원회 구성과 운영 발표에 대해 강서구와 강서구의회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김형찬 강서구청장은 기자회견에서 “교정시설 이전 입지선정의 주체는 법무부와 강서구로, 부산시의 일방적인 추진은 받아들일 수 없다” 며 부산시의 일방적인 교정시설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에 대하여 강하게 규탄했다.

김 구청장은 노후한 교정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는 이견이 없음을 밝히고, 부산 교정시설 이전과 관련한 부산시의 독자적 추진에 대한 절차 상 오류를 분명히 짚었다. 교정시설 이전의 결정권자는 법무부이고, 법무부는 ‘이전 대상 주민의 의견과 해당 기초자치단체와의 충분한 협의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뜻을 명백히 하고 있음에도 부산시가 일방적인 입지 선정위원회를 구성, 교정시설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법무부의 원칙에 어긋나는 부적절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한, 지난 2007년 강서구 화전동 통합 이전 무산 사례 및 2012년 명지국제신도시 이전 추진 무산, 2019년 강서구 대저동 통합 이전 무산 등 과거 주민의견을 무시하고 교정시설을 이전하려다 실패한 사례를 제시하며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사업을 진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함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현재 부산에서 가장 규모 있고 활발하게 개발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강서구는 “명실상부 부산의 미래도시이자 경쟁력 있는 글로벌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강서구 관내에 위치한 교도소와 보호관찰소를 자체 이전하는 것도 어려운 난제”라고 게다가 “타 지역의 구치소와 교도소까지 강서구로 이전을 검토한다면 문제는 정말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김형찬 강서구청장은 “입지선정의 주체는 부산시가 아니라 법무부와 해당 기초자치단체”라고 지적하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지역주민들과의 의견교류와 소통이며, 이것은 우리구의 기본 원칙이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부산시는 원칙과 절차에 맞게 교정시설 이전을 합리적으로 추진 할 것”을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